ASEAN Economic Issues (May 2024)Trade & Investment Unit, ASEAN-Korea Centre
1. Korea’s Trade to ASEAN Countries (as of April 2024)
Unit: 1 million (USD)
Country/Region |
April 2024 |
April 2023 |
2023 |
Export |
Import |
Total |
Total |
Total |
Total (Korea) |
56,262 |
54,732 |
110,994 |
101,371 |
1,274,977 |
ASEAN |
9,108 |
6,408 |
15,516 |
14,189 |
187,179 |
Brunei Darussalam |
3 |
36 |
39 |
2 |
466 |
Cambodia |
55 |
37 |
92 |
88 |
1,052 |
Indonesia |
655 |
1,058 |
1,713 |
1,649 |
21,287 |
Lao PDR |
7 |
9 |
16 |
19 |
194 |
Malaysia |
865 |
1,029 |
1,894 |
1,677 |
25,005 |
Myanmar |
30 |
41 |
71 |
70 |
1,240 |
Philippines |
853 |
458 |
1,311 |
1,126 |
13,654 |
Singapore |
1,359 |
859 |
2,218 |
2,682 |
29,937 |
Thailand |
668 |
634 |
1,302 |
1,184 |
14,916 |
Vietnam |
4,613 |
2,247 |
6,860 |
5,691 |
79,428 |
China |
10,463 |
12,420 |
22,883 |
21,317 |
267,662 |
Japan |
2,447 |
4,126 |
6,573 |
6,098 |
76,676 |
Reference: Korea Customs Service
Korea’s Trade in Brief (April)
(Overall) Korea’s exported $56.3 billion (13.8%), imported $54.7 billion (5.4%), and recorded a trade surplus of $1.5 billion.
(By country) Exports to Vietnam (21.4%), Japan (18.4%) and China (9.9%) increased while Singapore (-12.1%) decreased.
(By category) Sales increased for semiconductors, cars and petroleum products while the export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decreased. Semiconductors, Korea’s leading export item, leaped 54.5% in exports and reached $10.1 billion.
(Korea’s trade surplus) ASEAN($2.7 billion), Vietnam($2.37 billion), Singapore($0.5 billion)
(Policy direction) Minister for Trade Inkyo Cheong held the fourth exports promotion meeting with officials in charge of major destinations on April 26 in Seoul to review export conditions per region and discuss tailored export strategies. With exports to major destinations like U.S., China, and ASEAN keeping up the growth pace in April, Trade Minister Cheong articulated expectations of exports and trade surplus advancing for the 7th and 11th consecutive month, respectively. “Thorough efforts will be made in expanding the trade network for emerging markets and responding to trade risks from Middle East tensions so that the present upward trajectory can maintain until the year end,” he said. (Link)
2. 『The Global Risks Report 2024』 published by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Link)
[Summary] The 19th edition of the Global Risks Report forecasts significant challenges in 2024, including rapid technological change, economic uncertainty, climate change, and conflict.
Environmental risks are identified as the most dominant across all time frames, with extreme weather events being the top risk likely to cause a global crisis in 2024. The report warns of the potential consequences of misinformation, economic strains, and technological disparities on global societies and economies. The report highlights the risks and implications of AI applications and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the labour market and global development.
The report predicts a convergence of the “green lash” and the “tech lash”, resulting in frustration with economic conditions and potential societal divisions. Displaced workers may heavily influence political platforms during election cycles, and without adequate social protection systems, they may face increased rates of poverty, hunger, and homelessness.
Illicit economic activity, such as tax evasion and money laundering, is a significant concern regarding the global proliferation of organized crime. Unemployment is identified as the main driver of illegal economic activity, and poverty and unemployment can lead to crime becoming the primary source of income for some communities.
The report provides insights into various global risks that require attention, including adverse outcomes of AI and frontier technologies, biodiversity loss and ecosystem collapse, cyber insecurity, infectious diseases, and societal polarization.
This year’s report has brought together leading insights on the evolving global risks landscape from 1,490 experts across academia, business, governmen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civil society. According to the Global Risks Perception Survey (GRP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63%) anticipate stormy or turbulent outlook over the next decade (Figure A). “Global risk” is defined as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an event or condition which, if it occurs, would negatively impac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global GDP, population or natural resources.
A new set of global conditions in 2024 is taking shape across each of these domains and these transitions will be characterized by uncertainty and volatility. The most of GRPS respondents rank ‘extreme weather’ and ‘(AI-generated) mis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as the top risks most likely to present a material crisis on a global scale over the next two years. The climate change is an element of immediate risk factors in the short as well as long term, and if global warming continues, it leads to beyond extreme weather such as geological changes, biodiversity loss, food crises, pollution, and the occurrence of climate refugees.
With the first mention of the term ‘AI-generated mis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as close to three billion people are expected to head to the electoral polls across several economies– including Bangladesh, India, Indonesia, Mexico, Pakist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 over the next two years, the widespread use of mis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and tools to disseminate it, may undermine the legitimacy of newly elected governments. Resulting unrest could range from violent protests and hate crimes to civil confrontation and terrorism. In response, the forum emphasized that leaders of each country should come up with policies to ensure the AI ethics for responsible use of AI technology with urgency.
Top five risks identified by the Executive Opinion Survey (EOS)
* Only ASEAN countries where the WEF has cooperative organizations including Ko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Indonesia |
South Korea |
Lao PDR |
1st |
Economic downturn |
1st |
Economic downturn |
1st |
Infectious diseases |
2nd |
Extreme weather events |
2nd |
Household debt |
2nd |
Inflation |
3rd |
Infectious diseases |
3rd |
Asset bubble burst |
3rd |
Economic downturn |
4th |
Energy supply shortage |
4th |
Labour shortage |
4th |
Energy supply shortage |
5th |
Unemployment |
5th |
Inequality (wealth, income) & Inflation & Use of biological, chemical or nuclear weapons |
5th |
Labour shortage |
Malaysia |
Philippines |
Singapore |
1st |
Economic downturn |
1st |
Extreme weather events |
1st |
Economic downturn |
2nd |
Labour shortage |
2nd |
Economic downturn |
2nd |
Labour shortage |
3rd |
Food-supply shortage |
3rd |
Energy supply shortage |
3rd |
Inflation |
4th |
Inflation |
4th |
Inflation |
4th |
Geoeconomic confrontation |
5th |
Erosion of social cohesion & Infectious diseases |
5th |
Infectious diseases |
5th |
Cybercrime and cyber insecurity |
Thailand |
Viet Nam |
|
1st |
Economic downturn |
1st |
Economic downturn |
|
|
2nd |
Pollution (air, water, soil) |
2nd |
Infectious diseases |
|
|
3rd |
Labour shortage |
3rd |
Inflation |
|
|
4th |
Household debt |
4th |
Pollution (air, water, soil) |
|
|
5th |
Inequality (wealth, income) |
5th |
Labour shortage |
|
|
According to Saadia Zahidi’s interview conducted by SBS in February, who is the managing director of the report, Korean tend to focus more on economic issues as an important issue compared to other countries. However, Zahidi emphasized the need for a rebuilding trust through open and constructive dialogue at a global forum such as the WEF, noting that each government, business and civil society should try to focus on domestic issues while taking action to minimize global risks and build upon long-term opportunities and solutions at the same time. (Link)
3. 『2023 Annual Consultation Report on Korea』 published by the 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 (AMRO) (Link)
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 (AMRO) has published the 2023 Annual Consultation Report on Korea on 25 April. This report has been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s of AMRO to monitor and assess the macroeconomic status. The paper is drafted on the basis of the annul consultation visit of AMRO to Korea in December 2023 and the analysis in this report is based on information available up to February 2024 an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Recent developments and outlook
Real GDP growth declined to 1.4 percent in 2023 from 2.6 percent in 2022, mainly due to the decline in net exports and subdued private consumption. The economy is forecast to rebound to an above-potential rate of 2.3 percent in 2024, supported by continued strengthening in goods exports, especially semiconductors.Headline inflation declined to 3.6 percent in 2023 from 5.1 percent in 2022, driven by declines in energy prices, and is expected to continue its downward trend toward the target of 2 percent at the end of 2024. Core inflation has been trending down steadily but stickier than headline inflation. Moderate wage growth, despite the tight labor market, and gradual declines of short-term inflation expectations helped limit the second-round effects of inflation.
Monetary policy has remained restrictive due to concerns over lingering high inflation, the U.S. dollar strength amid the Fed’s hawkish stance, as well as increases in household loans. The Bank of Korea (BOK) has kept the Base Rate unchanged at 3.5 percent since February 2023.
The fiscal deficit, excluding social security funds, is estimated to narrow from 5.4 percent in 2022 to 3.8 percent of GDP in 2023, albeit higher than the budgeted 2.6 percent mainly due to revenue shortfall. Over the medium term, the National Fiscal Management Plan 2023-2027 envisages a slower pace of fiscal consolid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plan. The fiscal deficit is set to fall below 3 percent of GDP in 2025 and gradually approach mid-2 percent of GDP by 2027.
Risks, vulnerabilities, and challenges
In the near-term, inflation may be higher than expected, thereby leading to higher-for-longer interest rates. Economic slowdown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could be sharper than expected, while China’s economic recovery may falter. Locally, financial distress in the project finance market could emerge and spread to the broader financial system.
Over the medium term, heightened geopolitical tensions could disrupt manufacturing activities and weaken investment sentiment. The high level of household debt could weigh on private consumption and lead to distress and defaults, especially among households with lower credit ratings, income, and wealth.
In the long term, the rapid increase in government debt in recent years has raised concerns about fiscal sustainability. Deteriorating demography will continue to be a drag on economic potential.
Policy recommendations
The BOK should maintain its restrictive monetary policy stance until clear signs of disinflation toward the target level appear. The calibration of the monetary policy path should remain data dependent amid uncertainties in the environment. The reforms of the BOK’s lending facilities to both banks and non-bank depository institutions will mitigate risks of liquidity crunches and enhance financial market stability. Meanwhile, strengthening the regulatory, supervisory, and risk management frameworks, and enhancing information and data sharing among the BOK and other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are essential.
Efforts to safeguard financial stability should continue. Credit support measure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hould be time-bound and targeted. In addition, macroprudential measures should be finetuned to be commensurate with the developments in the housing market while additional policies can be considered to contain household indebtedness. As volatility in the short-term money markets has subsided, the authorities should unwind temporary regulatory support to strengthen financial institutions’ buffers and restore market functioning.
Continued fiscal consolidation in line with an expected economic recovery in 2024 is deemed appropriate and helps keep inflation in check. Should downside risks to the economic outlook materialize, fiscal policy could be employed to provide targeted support without compromising the fiscal consolidation path. To ensure fiscal sustainability, the government should spearhead the legislation of a fiscal rule, while articulating a fiscal consolidation plan featuring clear targets with specific reform measures and timeline.
The authorities should continue fostering innovation, promot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supply chain resilience to boost long-term growth. In view of the deteriorating demographic trend, comprehensive and proactive policies are needed to foster innovation and enhance productivity, and a public pension reform should be conducted.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the authorities should periodically review and adjust carbon reduction targets, provide direct fiscal support to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nd enhance carbon pricing mechanisms, as well as further promote green bond financing.
ASEAN Economic Issues (May 2024)
1. 2024년 4월 수출입 동향
단위: 백만 불
Country/Region |
April 2024 |
April 2023 |
2023 |
Export |
Import |
Total |
Total |
Total |
Total (Korea) |
56,262 |
54,732 |
110,994 |
101,371 |
1,274,977 |
ASEAN |
9,108 |
6,408 |
15,516 |
14,189 |
187,179 |
Brunei Darussalam |
3 |
36 |
39 |
2 |
466 |
Cambodia |
55 |
37 |
92 |
88 |
1,052 |
Indonesia |
655 |
1,058 |
1,713 |
1,649 |
21,287 |
Lao PDR |
7 |
9 |
16 |
19 |
194 |
Malaysia |
865 |
1,029 |
1,894 |
1,677 |
25,005 |
Myanmar |
30 |
41 |
71 |
70 |
1,240 |
Philippines |
853 |
458 |
1,311 |
1,126 |
13,654 |
Singapore |
1,359 |
859 |
2,218 |
2,682 |
29,937 |
Thailand |
668 |
634 |
1,302 |
1,184 |
14,916 |
Vietnam |
4,613 |
2,247 |
6,860 |
5,691 |
79,428 |
China |
10,463 |
12,420 |
22,883 |
21,317 |
267,662 |
Japan |
2,447 |
4,126 |
6,573 |
6,098 |
76,676 |
출처: 관세청 (월별 업데이트)
4월 한국 무역 동향
(총괄) 한국 수출 563억 달러(13.8%), 수입 547억 달러(5.4%), 무역수지는 15억 달러 흑자를 기록함.
(국가별 수출) 베트남(21.4%), 일본(18.4%), 중국(9.9%) 등은 증가하였고 싱가포르(12.1%)는 감소함.
(품목별 수출) 반도체, 승용차, 석유제품 등의 수출은 증가하였고, 무선통신기기 등은 감소함. 특히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54.5% 증가한 101억 달러를 기록함.
(주요 흑자국) 아세안(27억 달러), 베트남(23억 7천만 달러), 싱가포르(5억 달러)
(평가 및 정책방향) 지난 4월 26일 열린 제4차 수출지역 담당관 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4월에도 미국, 중국, 아세안 등 주요시장으로의 수출이 증가해 7개월 연속 수출 플러스 흐름과 11개월 연속 무역수지 흑자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발표하였음. 또한 확고한 수출 우상향 기조가 연말까지 지속될 수 있도록 신흥 시장으로의 통상 네트워크 확대하고, 중동 사태 등 수출 위험 요인에는 철저히 대비해 나가겠다고 밝힘. (Link)
2.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 『The Global Risks Report 2024』 발간 (Link)
[전체 요약] 19번째 발표된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는 2024년 급격한 기술적 변화, 불확실한 경제, 기후 변화, 국가별 분쟁 등을 포함한 전세계적인 위험요소들을 다루고 있음.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세계 최대 위험요인은 기후위기(extreme weather)로 조사되며 해당 보고서는 허위 정보, 경기침체, 기술격차 등이 글로벌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결과에 대해 경고하고 있음. 또한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의 위험과 함의, 노동시장에서의 도전과 기회를 정리하고 있음.
‘그린 래쉬(green lash)’와 ‘테크 래쉬(tech lash)’가 융합되어 사회 및 경제에 좌절을 초래할 것이라고 예측하였음. 추방된 노동자들과 난민 등은 선거 기간 동안 정치 플랫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적절한 사회보호 시스템이 부재할 경우 기아와 빈곤 등의 비율이 증가할 것임.
현재 탈세와 돈세탁과 같은 불법행위에 대한 근절은 전세계적인 관심사이며 높은 실업률은 불법적인 경제 활동의 주요 동인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있음. 실제로 일부 지역 사회의 빈곤과 실업 문제는 범죄율과 이어지기도 함.
해당 보고서는 AI와 프론티어 기술의 부정적인 결과, 생물 다양성 손실과 생태계 붕괴, 사이버안보, 전염병, 사회 양극화 등 관심이 필요한 다양한 글로벌 위험요소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함.
전 세계 기업, 학계, 정부, 시민사회의 위험 전문가 1,490명을 대상으로 WEF에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3%가 향후 10년 내 글로벌 위험(Global Risk)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하였음. 보고서는 ‘Global Risk’를 단일한 의미를 가진 하나의 단어로서 정의하고 있지는 않지만 세계 국내총생산(GDP)과 인구, 천연자원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건 및 가능성을 종합하여 해당 단어로 표현하였음.
우선, 보고서는 2024년을 전례 없는 혼란과 복잡성의 한 해라고 규정하며 2년 내 가장 심각한 글로벌 위험은 ‘기후위기와 (생성형 인공지능에서 파생되는) 허위 정보’라고 밝혔음. 먼저 기후위기는 장단기적으로 당면한 위험요소로, 지구온난화가 지속되면 극단적인 이상기온을 넘어 지질학적 변화, 생물다양성 감소를 포함해 식량위기와 오염, 기후난민의 발생 등 또 다른 위험요소로 발전할 수 있음.
또한 이번 보고서에는 AI가 만드는 허위정보를 처음으로 언급해 주목을 끌었음. 이는 앞으로 2년간 예정된 미국, 영국, 인도, 인도네시아 등 세계 각국에서 치러질 선거의 30억명에 해당하는 유권자의 상황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음. 인공지능 기술은 대규모 유권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거짓된 정보를 만들어 냄으로써 선거 결과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임. 나아가 이는 새 정부에 반발하는 폭력 시위와 혐오범죄, 테러로도 이어질 수 있음. 이에 포럼은 각 국가의 지도자들이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정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였음.
국가별 경영진 의견조사(Executive Opinion Survey, EOS)에서 파악한 국가별 5대 위험요소
* 한국을 포함하여 WEF가 협력단체를 두고 있는 아세안 국가만을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음.
인도네시아 |
대한민국 |
라오스 |
1위 |
경기침체 |
1위 |
경기침체 |
1위 |
감염병 |
2위 |
기후위기 |
2위 |
가계 부채 |
2위 |
인플레이션 |
3위 |
감염병 |
3위 |
자산버블 붕괴 |
3위 |
경기침체 |
4위 |
에너지 공급 부족 |
4위 |
노동력 부족 |
4위 |
에너지 공급 부족 |
5위 |
실업 |
5위 |
불평등(부,소득)&인플레이션 & 생물학적, 화학적 혹은 핵무기 사용 |
5위 |
노동력 부족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싱가포르 |
1위 |
경기침체 |
1위 |
기후위기 |
1위 |
경기침체 |
2위 |
노동력 부족 |
2위 |
경기침체 |
2위 |
노동력 부족 |
3위 |
식량부족 |
3위 |
에너지 공급 부족 |
3위 |
인플레이션 |
4위 |
인플레이션 |
4위 |
인플레이션 |
4위 |
지경학적 갈등 |
5위 |
사회적 결속력 약화 & 감염병 |
5위 |
감염병 |
5위 |
사이버범죄 및 사이버안보 |
태국 |
베트남 |
|
1위 |
경기침체 |
1위 |
경기침체 |
|
|
2위 |
오염 (대기,수질,토양) |
2위 |
감염병 |
|
|
3위 |
노동력 부족 |
3위 |
인플레이션 |
|
|
4위 |
가계 부채 |
4위 |
오염 (대기,수질,토양) |
|
|
5위 |
불평등(부,소득) |
5위 |
노동력 부족 |
|
|
지난 2월 SBS와 진행한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 책임자 사디아 자히디의 인터뷰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다른 국가와 비교해볼 때 국민들에게 중요한 이슈로 경제 이슈에 보다 집중하는 경향이 있음. 그러나 자히디는 각 정부는 국내 문제에 집중하면서도 동시에 글로벌 문제 역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WEF와 같은 전세계적 차원의 대화를 통해 신뢰의 재구축(Rebuilding Trust)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Link)
3.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 (AMRO), 『2023년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 발표 (Link)
아세안+3 거시경제조사기구(AMRO)*는 지난 4월 25일, 2023년 한국 연례협의 보고서를 발표하였음. 이번 보고서는 지난 2023년 12월 AMRO 미션단이 한국을 방문하여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정부 부처 및 관계 기관과 실시한 연례협의 내용과 2024년 2월까지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음.
* ASEAN+3 Macroeconomic Research Office: 아세안+3 경제동향을 분석 및 점검하고 회원국 경제∙금융안전을 지원하는 국제기구로, 2011년 싱가포르에 설립
경제 동향 및 전망
실질 GDP 성장률은 순수출 감소와 민간 소비 둔화로 인해 2022년 2.6%에서 2023년 1.4%로 하락했다. 2024년에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지속적인 상품 수출의 강세에 힘입어 잠재성장률을 상회하는 수준인 2.3%로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플레이션은 에너지 가격 인하로 인해 2022년 5.1%에서 2023년 3.6%로 하락했으며, 2024년 말 목표치인 2%를 향해 하락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근원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으로 둔화하는 추세이지만 헤드라인 인플레이션보다 더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노동 시장의 견조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완만한 임금 성장세와 단기 기대 인플레이션 하락은 인플레이션의 2차 파급효과 발생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통화정책은 지속되는 고인플레이션, 미 연준의 매파적 기조에 따른 달러 강세, 가계 대출 증가에 대한 우려로 인해 제한적인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 한국은행은 2023년 2월부터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하고 있다.
사회보장기금을 제외한 재정적자는 세수 부족으로 인해 예산안인 (GDP의) 2.6% 보다 높지만 2022년 5.4%에서 2023년 3.8%로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기적으로는 2023-2027 국가재정운용계획은 이전 계획에 비해 재정건전성 속도가 느려질 것으로 예상한다. 재정 적자는 2025년에 GDP의 3% 이하로 감소하고 2027년에는 점차적으로 GDP의 2% 중반 수준에 머무르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위험요인과 취약점
단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예상치를 상회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유지될 수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의 경기 둔화가 예상보다 급격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중국의 경제 회복세가 약화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프로젝트 금융시장의 재정적 어려움이 발생하고 더 광범위한 금융 시스템으로 확산될 수 있다.
중기적으로는 지정학적 긴장 고조로 제조업 활동에 차질이 빚어지고 투자 심리가 약화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가계 부채는 민간 소비에 부담을 주고 금융 불안과 채무 불이행 위험이 신용등급, 소득 및 자산이 낮은 가구에 집중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최근 몇 년간 정부 부채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인구구조 악화는 계속해서 경제의 잠재력을 저해할 것이다.
정책 권고
한국은행은 목표 수준 달성을 위한 물가상승률 둔화의 징후가 뚜렷하게 나타날 때까지 제약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 불확실한 대외 여건 속에서 통화정책 경로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조정되어야 한다. 은행과 비은행 예금 기관에 대한 한은의 대출제도 개혁은 유동성 경색 위험을 완화하고 금융시장 안정을 제고할 것이다. 한편, 규제, 감독 및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하고 한은과 다른 금융 감독 당국 간의 정보 및 데이터 공유를 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금융 안정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야 한다. 중소기업에 대한 신용 지원 조치는 한시적이고 맞춤형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거시건전성 대책은 주택시장 상황에 맞게 세밀하게 조정되어야 하며 가계부채 억제를 위한 추가적인 정책 도입도 고려할 수 있다. 단기 자금시장의 변동성이 줄어든 만큼 당국은 한식적인 규제 지원을 축소하여 금융기관의 완충 장치를 강화하고 시장 기능을 회복해야 한다.
2024년 예상되는 경기 회복세에 맞춰 재정건전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한 것은 적절하다고 평가되며, 이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경제 전망에 대한 하방 위험이 현실화될 경우, 재정정책을 활용하여 재정건전성 경로를 저해하지 않으면서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재정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는 재정 준칙의 입법을 주도하는 한편, 명확한 목표와 구체적인 개혁 조치 및 일정이 포함된 재정건전정 계획을 표명해야 한다.
당국은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혁신, 인적 자원 개발, 공급망 회복력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인구구조 악화 추세를 고려하여 혁신을 촉진하고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며, 공적 연금 개혁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당국은 탄소 감축 목표를 주기적으로 검토 및 조정하고, 재생 에너지 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재정 지원을 제공하고, 탄소 가격제를 강화하고, 녹색채권 금융을 더욱 활성화해야 한다.
Latest ASEAN News국가별 주요 뉴스
ASEAN-KOREA Centre 한-아세안센터
- ASEAN-Korea Centre holds inauguration ceremony for new secretary-general | The Korea Times 2024.05.29.
- Asean-Korea Centre inaugurates sixth secretary general | Korea Joongang Daily 2024.05.28.
- Veteran diplomat takes helm of ASEAN-Korea Centre | Vietnam Plus 2024.05.28.
- ASEAN-Korea centre head assumes office, pledges closer ties | Phnom Penh Post 2024.05.28.
- Secretary-General of ASEAN attends Inauguration Ceremony of 6th Secretary-General of the ASEAN-Korea Centre | ASEAN Secretariat 2024.05.27.
- New chief of ASEAN-Korea Centre vows to spur exchanges between two sides | Aju Press 2024.05.27.
- Veteran diplomat Kim Jae-shin heads ASEAN-Korea Centre | Aju Press 2024.05.21.
- ASEAN-Korea center holds roundtable on trade, investments | The Korea Herald 2024.05.11.
- S. Korea and ASEAN enhance cooperation in digital economy and supply chains | The Chosun Daily 2024.05.08.
- Korea, ASEAN explore next decade of cooperation | The Korea Times 2024.05.08.
- ASEAN-Korea Trade and Investment Roundtable 2024 to strengthen economic ties, cooperation | ASEAN Secretariat 2024.05.07.
- ASEAN-Korea Trade and Investment Roundtable 2024 begins today | Khmer Times 2024.05.07.
- 한-아세안, 관계 격상 추진…정치·안보 협력 확대 | 채널A 2024.05.31.
- [뉴스메이커] 김재신 사무총장…”아세안은 필수불가결한 협력 파트너” | 아주경제 2024.05.29.
- “한국인 방문 지역 1위 아세안에 대한 이해도 높여야” | 동아일보 2024.05.29.
- [핫피플] 김재신 사무총장 “한-아세안 대화 수립 35주년, 실질적 협력 시동” | 아세안익스프레스
-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지속가능하고 호혜적인 경제협력 증진” | 매일경제 2024.05.28.
-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지속 가능·상호 호혜적 경제협력” | 아주경제 2024.05.28.
- 제6대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아세안 사무총장 방한 | 뉴스1 2024.05.28.
- 제6대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아세안 사무총장 방한 환영 리셉션 개최 | 뉴스1 2024.05.28
- 김재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식…경협 등 교류 방안 소개 | 연합뉴스 2024.05.27.
- 韓·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식 | 세계일보 2024.05.27.
- 제6대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 및 아세안 사무총장 방한 환영 리셉션 개최 | 경향신문 2024.05.27.
- 제6대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 및 아세안 사무총장 방한 환영 행사 개최 | 이데일리 2024.05.28
- 김재신 제6대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취임…아세안사무총장 축사 | 아세안익스프레스 2024.05.27
- ‘2024 한-아세안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디지털 전환·공급망 협력 모색 | 뉴스1 2024.05.09
- 2024 한-아세안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개최 | 뉴스1 2024.05.09
- “韓, 아세안 디지털 전환 참여 확대해야” | 아시아경제 2024.05.09.
- “아세안 2030년 세계 4대 경제권 ‘우뚝’…韓 협력은 필수” | 매일경제 2024.05.08.
- 韓-아세안센터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 디지털 협력 강화해야” | 조선비즈 2024.05.08.
- 한-아세안 무역 투자 라운드 테이블 개최 | 조선일보 2024.05.08.
- ‘한-아세안 경제협력 강화’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8일 개최 | 연합뉴스 2024.05.07.
- 한-아세안센터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 한-아세안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공동 개최 | 한국경제 2024.05.07.
- 한-아세안센터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4 한-아세안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공동 개최 | 서울경제 2024.05.07.
- ‘2024 한-아세안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유튜브 온라인 생중계 | 아세안 익스프레스 2024.05.07.
- 한·아세안 경제인 뭉친다… 경협 방안 논의 | 스카이데일리 2024.05.07.
- ‘한-아세안 경제 협력 방안 강화’… 무역투자 라운드테이블 개최 | 마켓뉴스 2024.05.07.
ASEAN 아세안
Brunei Darussalam 브루나이
Cambodia 캄보디아
Indonesia 인도네시아
Lao PDR 라오스
Malaysia 말레이시아
Myanmar 미얀마
Philippines 필리핀
Singapore 싱가포르
Thailand 태국
Viet Nam 베트남